"첫 번째, 스트레스를 처리할 수 있는 루틴 갖기
두 번째, 팀원들과 개발 외 시간 자주 갖기
세 번째, 모든 선택은 함께! 책임도 함께!"

이번 강연에서는 작년에 겪은 생생한 경험을 기반으로 발표해주어서
팀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하는 연수생들에게 유익한 시간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
② 김형국 멘토
: 현업 프로젝트 매니저(PM)의 실무와 SW마에스트로 프로젝트 팀 리더와
역할

두 번째 교육은 김형국 멘토님의 강연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강연에서는 멘토님이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담당하면서 진행하였던 실무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이런 PM이 소마 프로젝트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해주었습니다.
여기서 여러분들은 PM에 대하여 알고 계셨을까요??
PM이란 프로젝트, 프로그램 매니저로 제품 개발을 책임지고, 의사결정을 하고,
이슈를 해결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PM은 프로젝트 단계별로(기획단계, 개발단계, 출시단계) 다양한 역할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위의 단계에 맞게 PM은 툴을 적절히 사용해야 하는데
소마 팀 프로젝트에서는 상황 즉 숙련도,목적, 연동에 맞는 툴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연수생들은 바깥에서 쓰는 툴을 미리 써보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이 툴을 왜 사용하는지를 알게 되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역할을 하는 PM이 성장하는 유일한 길은 바로 협업과 리뷰에 의한 성장이라고 합니다.
협업을 통해 엔지니어로서 질적 성장을 이루고 기획/개발 모두 좋은 리뷰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PM에 대하여 설명하신 후에 이를 기반으로 소마 팀프로젝트에서는
상황마다 PM과 팀장이 해야할 일들에 대하여 정리해 주셨습니다.
소마 연수생들은 협업 경험이 많지 않아 정확한 역할을 구분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하셨는데,
실제로 PM과 팀장의 역할 자체가 모호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역할을 정해야 팀 프로젝트가 효율적으로 진행된다고 하니
연수생들은 꼭 역할을 나누어 원활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팀장이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직면하게 될 문제들과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해 주셨습니다.

많은 연수생들이 멘토님에게 6개월 동안 팀이 깨지지 않고 끝까지 잘 운영될 수 있는 방법이나
노하우가 궁금하다고 질문하였다고 하는데 이 강연의 마지막 부분에서 답을 찾아가시면 좋겠습니다!
③ 토크콘서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