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대부분의 학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인
파이썬에 대하여 소개해볼까 합니다!

파이썬은 웹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과학, 기계 학습(ML)에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 프로그래밍은 효율적이고 배우기 쉬우며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어 대부분의 학과에서 활용합니다.

파이썬에는 개발자가 코드를 처음부터 작성할 필요가 없도록 라이브러리라는 코드 모음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라이브러리와 모듈의 모음을 프레임워크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각 분야별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짧게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웹 개발
- Django: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고수준 프레임워크로, 웹 사이트 및 웹 앱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Flask: 경량 웹 프레임워크로, Django보다 자유도가 높고 미니멀한 설계를 지향합니다.
- TurboGears: 웹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고 쉽게 구축하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입니다.
2. 딥러닝 학습
- PyTorch: 또 다른 오픈 소스 ML 라이브러리인 Torch 라이브러리에 부가하여 구축된 ML용 프레임워크입니다.
- TensorFlow: 구글에서 개발한 딥러닝 프레임워크로, 대규모 신경망 모델을 구축하고 훈련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3. 데이터 분석
- Pandas: 데이터 분석 및 조작을 위한 라이브러리로, 표 형식의 데이터를 다루고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 Numpy: 수치 계산을 위한 라이브러리로, 다차원 배열과 수학 함수를 제공하여 과학적 및 공학적 계산에 사용됩니다.
- Dash: 대시보드 및 시각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파이썬 프레임워크로, Plotly와 통합되어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통합 개발 환경(IDE)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된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스위트입니다.
이러한 환경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작성하고, 편집하고, 테스트하며, 디버그하고, 컴파일하며,
배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합니다.
위에 나와 있는 소프트웨어는 대표적인 파이썬 IDE입니다.
지금부터는 학과별로 파이썬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소프트웨어 및 웹 개발' 분야는 웹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수행하는 복잡한 백엔드 기능이 있고,
소프트웨어 코드의 버그 추적, 자동 구축, 프로토타입 개발 등과 소프트웨어 테스트 자동화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는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정보시스템학과, IT학과 등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딥러닝(머신)학습'분야는 컴퓨터가 데이터에서 자동으로 학습하고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기능을 기반으로 이미지, 텍스트 및 네트워크 트래픽 분류, 음성 인식, 얼굴 인식과 같은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는 빅데이터학과, 인공지능학과, AI학과, 컴퓨터과학과 등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데이터 분석(시각화)'분야는 잘못된 데이터 수정 및 제거와 데이터의 다양한 특징 추출 및 선택을 하여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기능을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전처리, 탐색, 시각화, 분석 및 결과 시각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는 통계학과, 경제학과, 생명과학과, 심리학과, 사회과학 분야 등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학과에서 파이썬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파이썬은 기존에 소개했던 프로그래밍과 달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기에
여러 방식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